Extrachromosomal DNA associates with nuclear condensates and reorganizes chromatin structures to enhance oncogenic transcription
- 차혜욱
- 9월 29일
- 2분 분량
Aziz Taghbalout1,6 ∙ Chia-Hao Tung1,6 ∙ Patricia A. Clow2 ∙ Harianto Tjong2 ∙ Ping Wang2,5 ∙ Chee Hong Wong1 ∙ Diane D. Mao3,4 ∙ Rahul Maurya2 ∙ Meng-Fan Huang1 ∙ Chew Yee Ngan2 ∙ Albert H. Kim3,4 ∙ Chia-Lin Wei
Available online 18 September 2025. Cancer Cell.
Summary(원문 요약)
Extrachromosomal, circular DNA (ecDNA) is a prevalent oncogenic alteration in cancer genomes, often associated with aggressive tumor behavior and poor patient outcome. While previous studies proposed a chromatin-based mobile enhancer model for ecDNA-driven oncogenesis, its precise mechanism and impact remains unclear across diverse cancer types. Our study, utilizing advanced multi-omics profiling, epigenetic editing, and imaging approaches in three cancer models, reveals that ecDNA hubs are an integrated part of nuclear condensates and exhibit cancer-type specific chromatin connectivity. Epigenetic silencing of the ecDNA-specific regulatory modules or chemically disrupting nuclear condensates breaks down ecDNA hubs, displaces MED1 co-activator binding, inhibits oncogenic transcription, and promotes cell death. These findings substantiate the trans-activator function of ecDNA and underscore a structural mechanism driving oncogenesis. This refined understanding expands our views of oncogene regulation and opens potential avenues for alternative therapeutic strategies in cancer treatment.
국문 초록 요약
Extrachromosomal circular DNA(ecDNA)는 다양한 암에서 발견되는 대표적 게놈 변이로, 특히 교모세포종(GBM), 육종과 같은 공격적 암에서 빈번히 관찰되며 불량한 환자 예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ecDNA는 단순히 oncogene (copy number) 증폭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종양세포 성장 적합성(fitness)과 종양 내 이질성(intratumoral heterogeneity, ITH)을 촉진하여 암의 진행과 진화를 가속화한다. 본 연구는 ecDNA가 단순한 DNA 증폭체가 아니라 핵 내 콘덴세이트(condensate)의 일부로 작동하며, 모바일 super-enhancer (ecSE)로서 암세포 전사를 증폭한다는 가설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ecDNA–염색체 상호작용의 인과성을 확립하고, 암 유형별 ecSE 연결성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했다.
🔹 배경
Extrachromosomal circular DNA (ecDNA)는 환자 예후와 종양 진행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암 관련 변이임.
주로 공격적 암 유형 (예: GBM, sarcoma)에서 발견되며, 불량한 예후와 강하게 연관됨.
ecDNA는 oncogene 증폭의 주요 기전으로 작동하여, 종양 세포의 성장 적합성(fitness)을 높이고, 종양 내 이질성(ITH)을 촉진.
🔹 ecDNA의 특징
염색질화된 DNA 원형 구조로 핵 내에 존재.
열린 chromatin 구조를 가지며, 서로 뭉쳐서 전사 허브(hub)를 형성.
전사 활성화 단백질들과 결합해 강력한 전사 촉진 기능을 수행.
이 구조는 super-enhancer(SE)와 유사하게, 고수준 전사를 이끄는 특징을 가짐.
ecDNA가 결합된 유전자들 중 다수가 oncogene → 발현 증가.
🔹기존 연구 & 가설
이전 연구에서 ecDNA는 염색체 유전자와 광범위하게 상호작용하며, super-enhancer 특성을 보여줌.
따라서 ecDNA = 강력하고 이동 가능한 mobile trans-activator → 특정 염색체와 접촉해 전사 조절.
무작위적 세포 분열 시 분리되는 성질 덕분에 세포 증식, ITH, 종양 진화에 기여.
🔹 연구 필요성
지금까지의 모델은 주로 GBM에 국한된 상관관계 데이터에 기반.
따라서 필요한 과제:
인과적 증거 확보 (ecDNA enhancer ↔ 유전자 발현 증가)
다양한 암 유형에서 특이적 상호작용 검증
모바일 enhancer 기능이 실제로 종양 증식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규명
🔹 본 연구의 접근
다중 오믹스(multi-omics), 에피유전 편집(epigenetic editing), 화학적 교란(perturbation), live-cell imaging 활용.
발견: ecDNA 허브 = MED1 핵 응집체(condensate)의 일부
콘덴세이트 및 ecDNA enhancer 구조를 붕괴시키면:
타깃 유전자 전사 억제
세포 증식 저해
🔹 연구 방법
다중 오믹스 분석(multi-omics profiling): ecDNA의 염색질 접근성과 표적 유전자 발현을 체계적으로 평가.
ChIA-drop: 단일 분자 수준에서 ecDNA–염색체 다중 상호작용 규명.
Casilio-imaging: ecDNA–MED1 응집체를 고해상도로 시각화.
Casilio-i 기반 에피유전 편집: ecSE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전사 조절 효과 검증.
화학적 처리(1,6-hexanediol): condensate의 LLPS 의존성 평가.
🔹 주요 발견
ecDNA–MED1 condensate 형성
ecDNA는 MED1과 결합하여 핵 내 condensate의 일부를 이루며, 전사 공동활성화인자와 함께 허브(hub) 구조를 형성함.
모바일 super-enhancer 역할
ecDNA는 염색체 유전자 발현을 증폭시키는 이동성 enhancer로 기능함.
이 과정에서 oncogene을 포함한 다수 유전자의 전사가 강화됨.
응집체 붕괴 효과
condensate 교란(1,6-HD 처리 또는 Casilio-i 억제) 시 ecDNA 허브가 무너지고, MED1 결합이 소실되며, 광범위한 전사 억제 및 세포사멸이 유도됨.
암 특이적 차이
암 유형에 따라 ecSE의 연결성(connectivity)이 배타적(exclusive) 혹은 중복적·상승적(redundant/synergistic)으로 나타남.
이는 암 특이적 분자적 특징으로서 새로운 치료 타깃으로 활용 가능.
🔹 기술적 한계
ecDNA와 염색체 서열이 거의 동일하여 구분이 어렵다는 점은 여전히 기술적 도전 과제로 남음.
그러나 ecDNA의 높은 copy number와 염색체 간 상호작용의 드문 발생 빈도를 고려할 때, 관찰된 효과는 주로 ecDNA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됨.
🔹 결론 및 의의
본 연구는 ecDNA가 LLPS 기반 핵 condensate의 구조적 단위로 작동하며, 이를 통해 염색체와의 3차원적 상호작용 및 전사 증폭을 유도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이 발견은 ecDNA를 단순한 유전자 증폭체가 아닌 모바일 super-enhancer 로 정의할 수 있게 하며, 종양 이질성과 진화에 기여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나아가 ecDNA–콘덴세이트 유지, ecSE 표적 에피유전 억제, ecDNA–염색체 상호작용 차단은 개념적으로 새로운 항암 치료 전략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ecDNA는 핵 내 MED1 기반 condensate의 일부로 작동하며, 모바일 super-enhancer 로서 암 전사를 증폭하고 종양 진화를 촉진하는 새로운 치료 타깃이다.”

댓글